2025/10/03 5

국내 멸종위기 양서류 금개구리, 논과 습지의 보물

한국의 논과 습지의 금개구리한국의 논과 습지에는 사람들의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생태적으로 매우 소중한 양서류가 살고 있다. 바로 금개구리다. 금개구리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우리나라에서만 서식하는 고유종 개구리다. 개체 수는 예전에는 농촌 어디서나 쉽게 관찰할 수 있을 정도로 흔했지만, 지금은 전국적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몸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금빛 띠가 특징적이며, 이 독특한 무늬 덕분에 금개구리는 다른 개구리와 쉽게 구별된다.금개구리는 단순히 한 종의 양서류를 넘어, 한국의 농경 문화와 깊이 연관된 생물이다. 논과 습지가 이들의 주요 서식지인데, 농촌이 도시화되고 습지가 사라지면서 이들의 삶의 터전도 빠르게 줄어들었다. 금개구리의 존재는 단순한 생물 다양..

국내 멸종위기 어종 감돌고기, 강 속의 살아있는 보물

감돌고기의 생김새와 생태적 특징한국의 민물 하천 속에는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귀한 어종이 숨어 있다. 감돌고기는 그중에서도 특별한 존재로 꼽힌다. 감돌고기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된 어류로, 한국 고유종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크다. 몸길이는 보통 12cm에서 15cm 정도이며, 길쭉한 체형에 황갈색을 띠고 있어 하천의 자갈밭과 모래밭에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감돌고기의 이름은 "돌과 함께 살아가는 물고기"라는 뜻에서 비롯되었는데, 실제로 이 어종은 강바닥의 작은 돌이나 자갈 사이에서 은신하거나 먹이를 찾는다.감돌고기의 특징적인 점은 생활사가 매우 섬세하다는 것이다. 감돌고기는 수질이 맑고 흐름이 완만한 강의 중상류에만 서식한다. 강물이 탁해지거나 바닥이 오염되면 곧바로 살기 힘들어..

국내 멸종위기 동물 삵, 숲의 은밀한 고양이

한국의 산과 숲에서 만나는 야생 고양이 삵한국의 산과 숲을 거닐다 보면 흔히 만나는 고양이와는 전혀 다른 야생 고양이가 존재한다. 바로 삵이다. 삵은 한국의 대표적인 토종 야생 고양이로, 생김새만 보면 길고양이와 비슷해 보이지만 생태와 습성은 완전히 다르다. 삵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자연 생태계의 중요한 균형자 역할을 맡고 있다. 삵의 존재는 인간에게는 낯설고 희귀하게 느껴지지만, 한국 생태계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포식자다. 작은 포유류와 조류, 곤충까지 섭취하면서 먹이사슬의 균형을 유지하기 때문이다.그러나 삵은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탓에 단순히 길고양이와 혼동되거나, 일부에서는 농가에 피해를 준다고 오해를 받기도 한다. 하지만 사실 삵은 생태계의 건강성을 보여주는 지표종..

국내 멸종위기 팔색조, 숲 속의 보석 같은 새

숲속의 보석 팔색조한국의 산과 숲에는 우리가 쉽게 만나지 못하는 희귀 조류들이 숨어 있다. 그중 팔색조는 ‘숲 속의 보석’이라고 불릴 만큼 화려한 깃털을 자랑하는 새다. 이름 그대로 몸에 여덟 가지 색이 고루 퍼져 있어 조류 애호가뿐만 아니라 자연 사진가들에게도 꿈의 대상이 된다. 하지만 팔색조는 국내에서 매우 드물게 관찰되며, 국제적으로도 멸종위기에 놓여 있는 희귀종이다. 팔색조는 여름철새로,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보내고 봄과 여름 사이에 한국 남부 지역으로 날아와 번식한다. 이들은 울창한 숲 속에서 은밀하게 생활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오히려 팔색조의 존재를 확인하는 가장 흔한 방법은 독특한 울음소리를 통해서다.팔색조가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배경에는 서식지 감소와 기후 변화가 크게..

국내 멸종위기 해오라기, 우리가 지켜야 할 야생의 작은 생명

밤의 정적을 누비는 해오라기한국의 하늘을 수놓는 수많은 새들 가운데, 사람들의 눈에 잘 띄지 않는 희귀한 조류들이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해오라기는 밤의 정적 속에서 움직이는 은밀한 습성으로 인해 일반인에게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새다. 해오라기는 주로 습지와 강가에서 서식하며, 낮에는 갈대숲이나 나무 그늘 속에 숨어 있다가 해가 지면 활동을 시작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 새를 마주할 기회가 적고, 존재 자체를 모르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환경 변화와 서식지 파괴로 인해 해오라기의 개체 수는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일부 아종은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한국의 도시화와 산업화 과정에서 갯벌과 습지가 줄어들면서 해오라기의 번식지와 먹이 활동 공간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 것이다. 단순히 한 종의 새가..